
민주주의 발전
그리고 통일
현장을 선택했습니다.
지난 10년간 서울, 홍콩, 워싱턴 D.C.에서 기자로 뛰며, 정상회담장, 시위 현장, 그리고 출입금지 구역 한 발 앞(!)까지 가보며 진실을 기록하고자 했습니다.
그 가운데 가장 지울 수 없는 기억은, 세계 곳곳에서 민주주의가 무너져내리는 현장을 직접 마주했던 순간들이었습니다. 그 퇴행이 국가를 어떻게 후퇴시키는지, 역사의 시계가 어떻게 멈추고, 희망의 불빛이 어떻게 어둠 속에서 사그라지는지를 두 눈으로 보았습니다. 그리고 기록했습니다.
그러는 동안 대한민국 또한 민주주의의 퇴행이라는 흐름에서 결코 자유로울 수 없다는 점을 깨달았습니다.
민주주의는 당연하게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지켜내기 위한 꾸준한 노력이 없이는 언제든 후퇴하고 무너질 수 있다고 자각했습니다.
저는 그 노력을 멈추지 않는 사람으로 살아가고자 결심했습니다.
이러한 신념 아래, 저는 과거에는 기자로서, 지금은 연구자로서 진실을 탐구하기 위한 여정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 여정의 방향은 분명합니다. 바로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발전, 그리고 통일입니다.
이 두 가지는 제가 연구를 통해 기여하고자 하는 궁극적 목표이며 반드시 함께 이루어져야 할 우리 시대의 과제라고 믿습니다.
또한 우리의 민주주의가 더욱 공고히 자리잡아가는 과정은 분단의 현실을 극복하고 하나의 공동체로 다시 나아가는 통일의 지향과 맞닿아 있다고 생각합니다.

Belt and Road Initiative (BRI) Forum in Beijing
(Where I learned that “win-win cooperation” sometimes means “China wins twice”)

Shangri-La Dialogue in Singapore
(Where military generals pretend they’re all friends for three days)

Hong Kong Protests
(Where tear gas is, unfortunately, not just a theoretical concept)

The Global Coronavirus Outbreak
(Where “breaking news” meant “everything is on fire, all the time”)

Inter-Korean Summits in Seoul
(Where handshakes lasted longer than some diplomatic agreements)

Trump-Kim Summits in Singapore and Hanoi
(Where history was made, then promptly unmade)

HAPEC Forum in Port Moresby
(Where world leaders had an intense geopolitical standoff… over hotel accommodations)
분단을 넘어 통일로 나아가는 길은 단지 민족의 염원을 실현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 사회가 정체된 성장의 늪에서 벗어나 또 한 번의 도약을 가능케 하는 역사적 전환점이 될 것이라 확신합니다.
그 과정 속에서 저는 학자로서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 또 어떠한 질문을 던져야 하는지 끊임없이 고민하고 있습니다.
민주주의의 발전과 통일이라는 시대적 과제를 마주한 지금 우리가 놓치고 있는 현실은 무엇인지, 그 현실이 우리 사회에 던지는 질문은 무엇인지, 저는 오늘도 묻고 또 묻고 있습니다.
새로운 질문을 멈추지 않는 연구자이자 시민으로 살아가고자 합니다.
대한민국의 민주주의 발전과 통일을 향한 길 위에서 작은 빛이 될 수 있기를 바랍니다.







학 력

킹스 칼리지 런던
영국
정치학 박사 (PhD in Politics Research)
전공: 북한학, 국제정치, 핵 전략

서울대학교
대한민국
국제학 석사 (Masters of International Studies)
전공: 중국지역학 (중국 정치 전공)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우수논문상 (SNU GSIS Distinguished Thesis Award)

시드니 대학교
호주
문학 학사 (Bachelor of Arts)
전공: 미디어 & 커뮤니케이션, 중국학
연구 및 교육 경력

고려대학교
서울
민족문화연구원 북한아카이브센터
연구교수
2025년 3월 – 현재
국제대학
강사
2024년 3월 – 2025년 2월
기자 및 군 경력

자유아시아방송
서울
선임 한국 특파원
워싱턴 DC 소속 영문 뉴스국
2023년 9월 – 2024년 1월

연세대학교
서울
국제교류학부
강사
2024년 9월 – 현재

울산대학교
울산
국제관계학과
강사
2024년 3월 – 2025년 2월

서울대학교
서울
국제학연구소
객원연구원
2022년 9월 – 2023년 8월

퍼시픽 포럼
호놀룰루
비상임 연구원
2023년 7월 – 2024년 7월

블룸버그 통신
서울
정치부 기자
동아시아 정치부
2020년 6월 – 2023년 6월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홍콩, 워싱턴 D.C.
중국부 기자
중국 외교안보팀
2018년 3월 – 2020년 4월

뉴스1
서울
기자
정치부, 국제경제부
2015년 12월 – 2018년 2월

대한민국 공군
수원
중위
2011년 9월 – 2014년 12월